|
|
|
습 |
|
|
습(襲) : 옷으로 시신을 싸는 일. |
|
습의(襲衣) : 수의 |
|
복건 : 머리를 뒤로 싸서 덮는 비단 두건. |
|
충이(充耳) 귀마개. {가례}에는 백광(白 : 흰솜)을 쓰는데, 대추씨 크기만 하니 세속에서는 설면(雪綿: 흰솜)을 쓴다.
|
|
멱목( 目) 눈가리개. 비단을 쓰는데, 사방 1자 2치이다. 얼굴을 가리는 것이다. |
|
악수(握手) 손싸개. 비단을 쓰는데, 길이는 1자 2치, 넓이는 5치이다. |
|
늑백(勒帛) : 행전(行纏). |
|
반함(飯含) : 입에 쌀 등을 넣음. |
|
소낭(小囊) 작은 주머니. 5개로 색깔있는 명주로 만든다. 종이 다섯쪽으로 머리 칼과 손톱을 싸고, 종이 위에 머리카락, 왼쪽
손톱, 오른쪽 손톱, 왼쪽 발톱, 오른쪽 발톱이라 쓰고, 또 주머니 겉에 각각 써서 표시하고 또 더 만들어서 떨어진 수염, 빠진 이를 싸는 데
쓴다. |
|
영좌(靈座) : 죽은 자를 위해 전을 설치한 자리. |
|
혼백(魂帛) 흰 명주로 사람의 형상을 만들어 왼쪽에 죽은 사람의 생년월일시를, 오른쪽에 졸년월일시를 써 놓은 물건. 신주를 만들기
이전 신주를 대신하기 위해 만든다. 흰 비단 혹은 모시 서너자로 만든다. |
|
향안(香案) 향을 놓은 탁자. 향로와 향합, 숟가락, 젓가락을 딸려 놓는다. |
|
명정(銘旌) 초상 때 죽은 사람의 관위, 성명 등을 쓴 깃발. 붉은 비단으로 만들고, 대나무로 장대를 만들어서 영좌 오른쪽에
기대놓는다. 3품 이상은 9자, 5품 이상은 8자, 6품 이하는 7자. 돌아간 사람의 관직과 봉호를 그 폭의 가운데에 해서(楷書)로 크게 쓴다.
위 아래로 각각 반치 쯤을 접어 실로 꿰매고 가는 대로 가로 꿰어서 축을 만들고 끈으로 장대에 묶는다. |
|
|
|
|
|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발인 |
|
|
발인(發引) : 상여가 집에서 묘지를 향해서 떠나는 것. |
|
|
| |
|
|
급묘 |
|
|
급묘(及墓) : 무덤에 도착함. |
|
|
| |
|
|
반곡 |
|
|
반곡(反哭) : 장지로부터 집에 돌아와 신주와 혼백 상자를 영좌에 모시고 곡하는일. |
|
|
| |
|
|
|
|
졸곡 |
|
|
졸곡(卒哭) 삼우제 후 이틀 뒤에 지내는 제사. 이때부터는 아침 저녁으로만 곡을 하고 이외에는 곡을 하지
않는다. |
| |
|
|
|
|
|
|
담 |
|
|
담( ) 대상 뒤 중월하여 지내는 제사. 담제. 마음을 담담하게 한다는 의미의 제사이다.
|
| |
|
|
길제 |
|
|
길제(吉祭) : 담제 다음 날에 제사 칠 날을 점쳐 지낸다. |
|
불천지위(不遷之位) : 큰 공훈이 있어 사당에 위해 두는 것을 나라에서 허락한 신위. |
|
합독(合 ) : 부부의 신주를 한 독안에 넣는 일. 또는 그 신주. |
|
|
|
| | |
|
|